9월, 2024의 게시물 표시

쉬스관 구조세목

 쉬스관 구조세목 ① 금속 쉬스관은 도금된 파형관이어야 하고, 쉬스관의 두께는 스트랜드 및 강선용 쉬스관의 지름이 70mm까지는 26번, 70mm 이상의 쉬스관에서는 24번, 강봉용 쉬스관의 두께는 31번 이상이어야 한다.  ② 외부 쉬스관으로는 고밀도 폴리에칠렌관(PE관)이나, 강체강관을 사용해도 좋다. 내부에 두는 PE관의 최소두께는 1.3±0.3(mm), 외부 PE관의 최소외측지름-두께의 비는 21이하이어야 한다.  ③ 쉬스관의 단면적은 긴장재의 배치를 위하여 2.5배 정도이어야 한다.  ④ 긴장재 쉬스관의 곡률반경은 6m이상이어야 한다. 부득이한 경우라도 3m이상이어야 하며, 이 경우에는 콘크리트 내에 구속철근을 두어야 하고, 그 소요단면적은 A_{s} = P/(R × 0.6f_{y}) 이상이어야 한다. 여기서, P는 긴장력이고, R은 곡률반경이고, 구속철근의 간격은 30cm이하이어야 한다.  ⑤ 내부 쉬스관은 띠철근으로 주변 철근에 견고하게 지지시켜야 하고, 외부 쉬스관의 비지지장은 최대 7.5m이하이어야 한다.  ⑥ 쉬스관의 치수는 최대 0.4×복부두께를 초과해서는 안된다. 두 개의 쉬스가 평행할 때의 순간격은 최소 쉬스관지름 이상이어야 하고, 이 간격유지가 어려울때는 쉬스관 사이에 철근을 배근해야 하며, 종방향 긴장재가 서로 교차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쉬스관 지름의 1/2이상, 5cm이상의 순간격을 두어야한다.  ⑦ 하부슬래브에 쉬스관을 두는 경우 종방향 슬래브철근과 횡방향 슬래브철근의 상하부층 사이에 쉬스관을 두어야 한다. 변단면 세그멘트의 하부플랜지에 쉬스관을 두는 경우에는 각 세그멘트면에 있는 쉬스관 둘레에 구속 보강철근을 배근해야 한다. 철도설계기준(철도교편) 1998

combined loading

이미지
https://youtu.be/N-PlI900hSg?si=XhAL3LfmAGLEU1Tc

Friction Coefficients

이미지
 Friction Coefficients for some Common Materials and Materials Combinations Table of friction Values associated with civils and structures  https://skyground21.tistory.com/entry/Friction-Coefficients

Temperature effects_maturity

  In the   CEB-FIP Model Code 90 ,   maturity   is a concept used to predict the rate at which concrete gains strength based on temperature and time.   Eq. (2.1-87)   is used to calculate the   maturity-adjusted time  $$ t_T$ $​ , which accounts for the effects of temperature on concrete's strength development. \(  S=\int d^{4} x\left(\frac{R}{2 \kappa}\right) \) begin{eqation} S=\int d^{4} x\left(\frac{R}{2 \kappa}\right) end{equation} Definition of Equation (2.1-87): The maturity-adjusted time $$tTt_T tT​$$  is calculated as: $$tT=∫t0texp⁡[QR(1T0−1T(τ))]dτt_T = \int_{t_0}^{t} \exp \left[ \frac{Q}{R} \left( \frac{1}{T_0} - \frac{1}{T(\tau)} \right) \right] d\tau tT​=∫t0​t​exp[RQ​(T0​1​−T(τ)1​)]dτ$$ Where: tTt_T tT​  = maturity-adjusted time (in days) tt t  = real elapsed time (in days) t0t_0 t0​  = start time for the calculation (usually 0) QQ Q  = activation energy for hydration process, typically around 33,500 J/mol for ordinary Portland cement RR R  = universal gas constant, 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