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트 규격에서 분모로 8, 16, 32 같은 숫자를 사용하는 이유

 볼트 규격에서 분모로 8, 16, 32 같은 숫자를 사용하는 이유는 인치 단위를 작은 단위로 분할할 때 쉽게 계산할 수 있도록 만든 관습에 기인합니다. 다음과 같은 이유가 있습니다: 이진수 분할: 1인치를 2, 4, 8, 16, 32 등으로 나누면 각 분할은 정확한 반으로 나눠지므로 측정과 계산이 편리해집니다. 예를 들어 1/2, 1/4, 1/8, 1/16, 1/32처럼 한 단계씩 나누기 쉬워지죠. 산업 표준화: 미국과 영국에서 인치 단위를 기반으로 볼트와 나사의 크기를 표준화했기 때문에, 1인치를 쉽게 나눌 수 있는 분수 단위(2의 배수)를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미국에서 분수 단위를 채택하면서 관습이 되었고, 볼트 및 나사의 규격에 정착하게 되었습니다. 제작 및 정밀도 용이성: 제조 시에도 1/8, 1/16 등의 단위는 다양한 크기의 볼트 및 나사를 만들 때 용이합니다.

Punching Shear(EC2 vs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해설)

 

EC2

6.4.2 Load distribution and basic control perimeter

(3) For loaded areas situated near openings, if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perimeter of the loaded area and the edge of the opening does not exceed 6d, that part of the control perimeter contained between two tangents drawn to the outline of the opening from the centre of the loaded area is considered to be ineffective (see Figure 6.14).



(4) For a loaded area situated near an edge or a corner, the control perimeter should be taken as shown in Figure 6.15, if this gives a perimeter (excluding the unsupported edges)  smaller than that obtained from (1) and (2) above.



(6) The control section is that which follows the control perimeter and extends over the
effective depth d. For slabs of constant depth, the control section is perpendicular to the middle plane of the slab. For slabs or footings of variable depth other than step footings, the effective depth may be assumed to be the depth at the perimeter of the loaded area as shown in Figure 6.16.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해설 2015

5.7.4 뚫

5.7.4.1 일반

[해설]

개구부 근처에 위치한 재하면인 경우, 재하면으로 부터 개구부까지의 순거리가 6d 이하이면 재하면의 중심에서 개구부의 테두리 쪽으로 그은 접선 사이에 포함된 위험단면 둘레길이 부분은 빼고 위험단면 둘레길이를 산정한다(해설 그림 5.7.12 참조).



해설 그림 5.7.12의 맨 오른쪽 γ(h,b)는 γ(gamma)가 아니고 √(root)이어야 하고
수정 하면 √(h*b)이어야 하는데 어디가 h이고 b인지 알 수 가 없다.
EC2를 참고해서 수정하면 √(l₁*l₂)이어야 한다.


재하면이 슬래브의 가장자리 또는 모서리 근처에 위치하는 경우, 위험단면 둘레길이는 해설 그림 5.7.13와 같이 취한다. 재하면이 가장자리 또는 모서리의 선상에  위치하거나 d미만의 거리 내에 위치한 경우, 특수 테두리 철근을 반드시 배치해야 한다(5.12.13.1(4) 참조). 위험단면은 둘레길이가 폭이고 유효깊이 d를 갖는 단면이다. 깊이가 일정한 슬래브의 경우, 위험단면은 슬래브의 중간층면에 수직이다.

해설 그림 5.7.13에서 슬래브의 가장자리가 1점 쇄선으로 표현되어 있다. EC2와 같이 실선으로 표시하는 것이 이해에 도움이 된다.



깊이가 변하는 슬래브나 확대기초의 경우, 유효깊이는 해설 그림 5.7.14에 보인 바와 같이 재하면 둘레 위치의 유효깊이로 가정한다. 위험면 내외의 기타 둘레 길이 u ᵢ는 기본 위험단면 둘레길이 형상과 같아야 한다.
해설 그림 5.7.14의 오른쪽 수식 0≥Arctan(1/2)은 오기 이다. θ≥Arctan(1/2)로 수정되어야 한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Temperature effects_matur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