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트 규격에서 분모로 8, 16, 32 같은 숫자를 사용하는 이유는 인치 단위를 작은 단위로 분할할 때 쉽게 계산할 수 있도록 만든 관습에 기인합니다. 다음과 같은 이유가 있습니다: 이진수 분할: 1인치를 2, 4, 8, 16, 32 등으로 나누면 각 분할은 정확한 반으로 나눠지므로 측정과 계산이 편리해집니다. 예를 들어 1/2, 1/4, 1/8, 1/16, 1/32처럼 한 단계씩 나누기 쉬워지죠. 산업 표준화: 미국과 영국에서 인치 단위를 기반으로 볼트와 나사의 크기를 표준화했기 때문에, 1인치를 쉽게 나눌 수 있는 분수 단위(2의 배수)를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미국에서 분수 단위를 채택하면서 관습이 되었고, 볼트 및 나사의 규격에 정착하게 되었습니다. 제작 및 정밀도 용이성: 제조 시에도 1/8, 1/16 등의 단위는 다양한 크기의 볼트 및 나사를 만들 때 용이합니다.
교량의 등급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교량의 등급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해설 2015
1.4 교량의 등급
3.6.1.3에 규정된 설계 차량활하중 KL-510으로 설계하는 교량을 1등교로 한다.
2등교는 1등교 활하중효과의 75%를 적용하며, 3등교는 2등교 활하중효과의 75%를 적용한다.
교량의 등급은 원칙적으로 발주자가 정한다.
[해설]
고속국도 및 자동차 전용도로상의 교량은 1등교로 한다. 다만, 교통량이 많고 중차량의 통과가 불가피한 도로, 국방상 중요한 도로상에 가설하는 교량, 장대교량은 1등교로 할 수 있다. 또한 교통량이 많거나 중차량의 통과가 빈번한 특수산업시설에 인접한 지방도, 시도 및 군도상의 교량은 1등교로 설계함을 원칙으로 한다.
일반국도, 특별시도와 지방도상의 교통량이 적은 교량은 2등교로 한다. 또한 시도 및 군도 중에서 중요한 도로상에 가설하는 교량은 원칙적으로 2등교로 한다.
산간벽지에 있는 지방도와 시도 및 군도에 교통량이 극히 적은 곳에 가설하는 교량은 3등교로 한다.
교통량이 극히 적은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발주자 또는 담당기술자의 판단에 의하여 3등교로 설계할 수 있다.
교량 설계 일반사항(한계상태설계법) KDS 24 10 11
1.4 교량의 등급
(1) KDS 24 12 21 (4.3.1.3)에 규정된 설계 차량활하중 KL-510으로 설계하는 교량을 1등교로 한다.
(2) 2등교는 1등교 활하중효과의 75%를 적용하며, 3등교는 2등교 활하중효과의 75%를 적용한다.
(3) 교량의 등급은 원칙적으로 발주자가 정한다.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insert subscripts and superscripts inside a text region
시멘트 콘크리트 설계기준 배합비
Temperature effects_maturity
In the CEB-FIP Model Code 90 , maturity is a concept used to predict the rate at which concrete gains strength based on temperature and time. Eq. (2.1-87) is used to calculate the maturity-adjusted time $$ t_T$ $ , which accounts for the effects of temperature on concrete's strength development. \( S=\int d^{4} x\left(\frac{R}{2 \kappa}\right) \) begin{eqation} S=\int d^{4} x\left(\frac{R}{2 \kappa}\right) end{equation} Definition of Equation (2.1-87): The maturity-adjusted time $$tTt_T tT$$ is calculated as: $$tT=∫t0texp[QR(1T0−1T(τ))]dτt_T = \int_{t_0}^{t} \exp \left[ \frac{Q}{R} \left( \frac{1}{T_0} - \frac{1}{T(\tau)} \right) \right] d\tau tT=∫t0texp[RQ(T01−T(τ)1)]dτ$$ Where: tTt_T tT = maturity-adjusted time (in days) tt t = real elapsed time (in days) t0t_0 t0 = start time for the calculation (usually 0) QQ Q = activation energy for hydration process, typically around 33,500 J/mo...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