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개정 주요내용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개정 주요내용  2024.6.28. 일부개정 2024.6.28., 2024.12.29., 2025.6.29. 시행 가. 사다리식 통로 등 구조의 합리적 개선(안 제24조제1항제9호) 사다리식 통로에 등받이울이 있어도 근로자 이동에 지장이 없는 경우에는 등받이울을 설치하고, 등받이울이 있으면 근로자가 이동이 곤란한 경우에는 사업주로 하여금 한국산업표준에서 정하는 기준에 적합한 개인용 추락 방지 시스템을 설치하며, 근로자로 하여금 한국산업표준에서 정하는 기준에 적합한 전신안전대를 사용하도록 하는 등 사다리식 통로 구조에 대한 안전기준을 산업현장의 현실에 맞게 개선함. 나. 배달종사자의 안전모에 대한 안전기준 구체화(안 제32조제1항, 안 제672조제5항 및 안 제673조제1항) 사업주가 배달종사자에게 제공하여 착용하도록 해야 하는 안전모에 대한 안전기준을 배달종사자가 운행하는 이동수단의 종류에 적합하도록 「도로교통법」에 따른 이륜자동차 및 원동기장치자전거의 경우와 자전거, 전기자전거 및 개인형 이동장치의 경우로 구분하여 정함. 다. 이동식 사다리에 대한 안전기준 마련(안 제42조제4항 신설) 사업주는 작업발판과 추락방호망을 설치하기 곤란한 경우에 근로자로 하여금 3개 이상의 버팀대를 가지고 지면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세울 수 있는 구조를 갖춘 이동식 사다리를 사용하여 작업을 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이동식 사다리의 설치 및 작업 시 준수해야 하는 조치사항을 정함. 라. 분쇄기 등을 이용한 작업 시 위험 방지 기준 강화(안 제87조제8항 및 제9항) 분쇄기ㆍ파쇄기ㆍ마쇄기ㆍ미분기ㆍ혼합기 및 혼화기 등의 가동 중에 덮개 또는 울 등을 열어야 하는 경우에는 미리 근로자가 분쇄기 등의 가동을 정지하도록 하거나, 분쇄기 등과 덮개 또는 울 등 간에 연동장치를 설치하여 덮개나 울 등이 열리면 분쇄기 등이 자동으로 멈추게 하는 등 작업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보다 강화된 기준을 마련함. 마. 식품가공용기계에 의한 위험방지 ...

REINFORCEMENT SHAPES(AU)

 REINFORCEMENT SHAPES(AU)


SHAPE COMMENT

S A straight bar referred to in this context, really means a “straight bar”. It could be

a stock length bar (see Clause 2.1 ), or it could be a bar cut from a stock bar without any bending being done.


L, LL These bars include cases where a 90º hook (cog) is added at one or each end as

dimensions ‘A’ and ‘C’. If you are in any doubt as to the use and specification of hooks and cogs, please re-read Chapter 6.


CC This shape allows for a small offset (dimension D ≥ 2db ) so that column bars

can be lapped, dimension ‘A’ represents the lap-splice. The crank dimension ‘C’ should

be no less than 6d b, but for smaller bars 300 mm is used. (See Clause 12.2.10 ).

It can also be used for beam bars.


T, HT, DT These are “closed ties”; used principally with rectangular members.


SH, SC, RT These are “open ties”; give easy access for fixing beam cages (See Chapter 13 ).


J, JJ These shape s should b e used where a small crank is required at bar ends to avoid

interference with intersecting steel. The shapes used to be known as “ bent-up”

bars for shear stress design in beams and slabs. They are now obsolete. (Dimension

‘D’ approximated the depth of the member, and the angle was 45º).


V, VL, VV If known, the angle of bend can be given. The other dimensions are of ten obtainable from the concrete shape.


A, AL, AV The latter t wo are logical ex tensions of shape A, similar to shape V above.


U This should be specif ied in lieu of shape LL if the overall dimension ‘B’ is less than about 200 mm; LL cannot be bent to that size.


H, HH Both of these bars are defined as having 180º hooks at one end or each end respectively as dimensions ‘A’ and ‘C’. For bars other than these and some fitments, hooks can be added as shown later.


Figure 9.1 Standardised Bending Shapes for Reinforcement





An “L” shape with a hook at one end is defined by “LH”, whilst one with two hooks is called “LD”.

In addition to this combination are the letters “I” (means the hook is bent “into” the next bend) and “O” (means it is bent “outward” from the next bend).

See Figure 9.2.

Figure 9.2 Shape Code Example of L-Shaped Bar with 180° Hook Orientation Definitions



출처 : Reinforcement Detailing Handbook for Reinforced and Pressed ConcreteFigure 9.2.
Based upon the Australian Concrete Structures Standard – AS 3600:2009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Temperature effects_maturity